정부 새로운 청년 정책 발표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관리자
댓글 0건 조회 55회 작성일 25-09-28 20:08

본문

1404577896_K6IG0P7q_b5cda43f53f07b92f21666fb7e4bdb7f_1043735511.jpg


이번 청년 정책의 가장 큰 변화는 기존의 저소득층, 취약계층을 위주로 지원하던 방식에서 벗어나서 앞으로는 모든 청년을 대상으로 한 보편적 정책으로 확대된다는 점입니다.



1404577896_YFmLOCZR_190423d9a88a4cbeb53a6b5258145b83_1789438895.jpg


먼저 주거 정책부터 보겠습니다.


원래는 무주택 저소득 청년에게 2년간 최대 월 20만 원 월세를 지원하는 사업이 올해까지 한시적으로 진행되는 사업이었지만, 이걸 계속하기로 했고요.


또 지원 요건을 완화해서 지원 대상도 더 늘리기로 했습니다.


구체적인 지원 요건과 인원수는 앞으로 발표될 예정입니다.



1404577896_XEbT56mQ_356196539c5608dfdb56a0573ba11985_1371836165.jpg


또 청년층이 부담 가능한 공공분양주택도 적극 공급하고,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기로 했는데요.


특히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유 오피스, 피트니스 센터 같은 특화 서비스와 임대주택이 복합된 청년 주택 공급도 확대해 나갑니다.




1404577896_itALQZpk_71e19669ec007f8087341044804a1858_195208364.jpg


여기에 새로운 자산형성 제도인 청년미래 적금도 신설됩니다.


내년 6월부터 청년이 매달 최대 5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6~12% 기여금을 얹어줍니다.


특히 중소기업에 새로 취업한 청년은 12% 우대를 받고, 군 초급간부는 매달 30만 원을 넣으면 정부가 100% 매칭을 해주는데요.


이 경우 3년간 적립하면 원금 1천80만 원에 정부 지원금 1천80만 원을 더해서 2천만 원 넘는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




1404577896_0OHas8mQ_ea5f14f170dddcf8be88f6b9be4138e5_510963465.jpg


즉, 월세 지원으로는 당장 생활비 부담을 덜어주고, 적금을 통해서는 장기적으로 자산을 모을 수 있게 돕겠다는 겁니다.




아마도 청년들이 가장 관심이 많을 일자리 관련 정책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?



1404577896_QLHfPcUE_1198993de8e2dd73b0cb36b8dd30b8a8_549645020.jpg


대표적인 것이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인데요. 



1404577896_hn4cARvV_e5993619ee79ad0d4b986abf152d7969_1614564679.jpg


장기 미취업 위험군 청년 15만 명을 발굴해서 지원하게 됩니다.


6개월 이상 취업 참여 이력이 없는 청년에게 맞춤형 일 경험 프로그램에 참여시키는데, 이 과정에서 50만 원에서 최대 250만 원까지 참여 수당을 지급합니다.



1404577896_T6atvR3X_71e19669ec007f8087341044804a1858_1047925192.jpg


또 국민취업지원제도의 구직활동 지원금도 단계적으로 확대되고, 기존 저소득층에 한정됐던 구직 촉진 수당은 올해 월 50만 원에서 내년 60만 원으로 오릅니다.




1404577896_BwP86KWH_71e19669ec007f8087341044804a1858_1046101044.jpg


여기에 자발적으로 이직한 청년도 생애 한 번은 구직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해서 재도전의 기회도 열어두었습니다.


근로를 시작한 청년들에게는 생활비 지원도 강화되는데요.


인구 감소 지역 중소기업 근로자에게는 매달 4만 원의 식비를 지원합니다.


또, 구직 청년에게는 전자책 구독·구매 비용을 연 6만 4천 원 한도 80%까지 지원합니다.


정리하자면 이번 일자리 정책은 구직 단계에서는 현금성 지원으로 버틸 힘을 주고, 취업 후에는 근속과 역량 개발을 지원하는 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.




마지막으로 청년들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는 제도도 시행이 된다면서요?


1404577896_mwdHf1xs_356196539c5608dfdb56a0573ba11985_880622820.jpg


한 달에 5만 5천 원을 내면 대중교통 월 20만 원 한도까지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정액 패스입니다.


예를 들어 평소 한 달 교통비가 16만 원 나온다고 하면 정액 팩스를 이용하면 10만 원 이상 절약할 수 있습니다.



1404577896_zERXgWtD_71e19669ec007f8087341044804a1858_1079458198.jpg


기존의 K-패스 제도도 유지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더 적합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



1404577896_l7ROVQvW_e5993619ee79ad0d4b986abf152d7969_1847381497.jpg


이 밖에도 청년 문화예술패스도 지원연령과 금액이 확대되는데요.


청년 예술인 3천 명에게는 연 900만 원의 창작지원금이 새로 지원되는 안이 담겼습니다.





1404577896_QjvBVJCS_ea5f14f170dddcf8be88f6b9be4138e5_805934851.jpg
 

또 비수도권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 5만 명에게는 2년 근속하면 최대 720만 원 인센티브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입니다.
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